트르피미르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르피미르 1세는 845년경 크로아티아 공작으로 즉위하여 864년경까지 통치했다. 그는 비잔티움 제국과 불가리아의 공격을 물리치고, 852년에는 라틴어 하사장을 통해 자신의 통치 영역을 '크로아트인의 왕국'으로 묘사했다. 또한, 스플리트 대주교에게 재산을 하사하고 베네딕도회 수도원 건설을 지원했으며, 색슨인 신학자 고트샬크는 그를 '슬라브족의 왕'으로 칭하며 비잔티움으로부터의 독립을 언급했다. 그의 사후 공작위는 도마고이가 승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크로아티아 사람 - 도마고이
도마고이는 864년 즈데슬라브를 폐위시키고 크로아티아 공작으로 즉위하여 베네치아와 평화를 맺고 아라비아 해적을 소탕했으나, 동프랑크 왕국과의 관계에서 프랑크인 반란이 있었고, 사망 후 즈데슬라브가 복귀했다. - 9세기 크로아티아 사람 - 즈데슬라브
9세기 크로아티아의 공작 즈데슬라브는 트르피미르 1세의 아들이며 비잔티움 제국의 지원으로 공작이 되었으나 브라니미르의 반란으로 암살당했고,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평화 회복과 도마고이 후손 추방 정책을 펼쳤다. - 크로아티아 공작 - 토미슬라브
토미슬라브는 910년 크로아티아 공작이 되어 925년 크로아트인의 왕 칭호를 받았으며, 불가리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스플리트 교회 회의를 통해 교회 관할권을 확립하여 크로아티아의 통일과 발전에 기여했다. - 크로아티아 공작 - 도마고이
도마고이는 864년 즈데슬라브를 폐위시키고 크로아티아 공작으로 즉위하여 베네치아와 평화를 맺고 아라비아 해적을 소탕했으나, 동프랑크 왕국과의 관계에서 프랑크인 반란이 있었고, 사망 후 즈데슬라브가 복귀했다. - 864년 사망 - 아흐마드 이븐 아사드
- 864년 사망 - 카롤루스 (마인츠 대주교)
카롤루스는 프랑크 왕국의 귀족이자 샤를마뉴 대제의 후손으로, 반란에 가담하고 아키텐 왕위를 주장하기도 했으며, 863년 마인츠 대주교가 되었다.
트르피미르 1세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크네즈 |
라틴어 | Trepimerus / Trepimero 트레피메루스 / 트레피메로 |
통치 | |
통치자 | 크로아티아 공작 |
재위 기간 | 기원후 845–864년경 |
이전 통치자 | 미슬라프 |
다음 통치자 | 도마고이 |
가문 | |
가문 | 트르피미로비치 |
가문 유형 | 왕조 |
출생과 사망 | |
사망 시기 | 기원후 864년경 |
종교 | 기독교 |
가족 관계 | |
자녀 | 즈데슬라프 페테르 문치미르 |
2. 생애
트르피미르 1세는 즈데슬라브(Zdeslav), 페테르(Peter), 문치미르(Muncimir) 세 아들을 두었다.[12][13] 그의 사후 크로아티아 공작위는 도마고예비치 가문 출신의 도마고이(Domagoj)가 승계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845년경 미슬라브(Mislav) 공작의 뒤를 이어 크로아티아의 공작으로 즉위했다. 846년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던 자다르의 장군(스트라테고스)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을 물리쳤다. 854년 보리스 1세가 이끄는 불가리아 제1제국 군대가 크로아티아를 침공했지만, 크로아티아 군대의 반격으로 패배했다. 이후 크로아티아와 불가리아는 크로아트인과 불가리아인 간의 공존에 관한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852년 3월 4일 라틴어로 작성된 하사장을 스플리트 대주교에게 전달했는데, 이 하사장은 1568년에 작성된 필사본을 통해 전해진다. 트르피미르 1세는 하사장에서 자신을 "하느님의 은총을 받은 크로아트인의 공작"(Dux Chroatorum iuvatus munere divino)으로 묘사했으며, 자신이 통치하는 왕국은 "크로아트인의 왕국"(Regnum Chroatorum)으로 묘사했다.
트르피미르 1세는 스플리트 교회가 크로아티아 영토에 소유하고 있던 모든 재산을 인정하는 한편, 클리스 요새에 있던 자신의 재산을 스플리트 대주교에게 하사했다. 스플리트 대주교는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클리스(Klis)와 솔린(Solin) 사이에 있는 리지니체(Rižinice)에 베네딕도회 수도원을 건설하기 위한 비용을 트르피미르 1세에게 바쳤다.
색슨인 출신 베네딕도회 신학자 오르바이스(Orbais)의 고찰크(Gottschalk)는 846년부터 848년까지 트르피미르 1세의 궁전에 거주하면서 그와 관련된 기록을 남겼다. 고찰크는 이 기록에서 트르피미르 1세를 "슬라브족의 왕"(rex Sclavorum)이라고 칭했고, 트르피미르 1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로부터 독립을 이루었다고 묘사했다.
2. 2. 통치
트르피미르 1세는 845년경 미슬라브의 뒤를 이어 크로아티아의 공작으로 즉위했다. 클리스 요새를 중심으로 통치하며, 비잔티움 제국과 불가리아 제1제국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852년 3월 4일, 스플리트 대주교에게 라틴어로 작성된 하사장을 전달했다. 이 하사장에서 그는 자신을 "하느님의 은총을 받은 크로아트인의 공작"으로, 자신의 왕국을 "크로아트인의 왕국"으로 묘사했다. 또한 클리스와 솔린 사이에 베네딕도회 수도원 건립을 지원했다.

슬하에 3명의 아들(즈데슬라브, 페테르, 문치미르)을 두었으며, 크로아티아 공작위는 도마고이가 승계받았다.
2. 2. 1. 대외 관계
846년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던 자다르의 스트라테고스가 이끄는 군대의 공격을 물리쳤다.[1] 854년 보리스 1세가 이끄는 불가리아 제1제국 군대가 크로아티아를 침공했지만 크로아티아 군대의 반격으로 패배했고, 크로아티아와 불가리아는 크로아트인과 불가리아인 간의 공존에 관한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색슨인 출신 베네딕도회 신학자 오르바이스(Orbais)의 고찰크는 846년부터 848년까지 트르피미르 1세의 궁전에 거주하면서 트르피미르 1세와 관련된 기록을 남겼는데, 이 기록에서 트르피미르 1세를 "슬라브족의 왕"(rex Sclavorum)이라고 칭하며 트르피미르 1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로부터 독립을 달성했다고 묘사했다.[2]
2. 2. 2. 내치
845년경 미슬라브의 뒤를 이어 크로아티아의 공작이 되었다. 846년에는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를 받던 자다르의 장군이 이끄는 군대의 공격을 물리쳤다.[1] 854년 보리스 1세가 이끄는 불가리아 제1제국 군대가 크로아티아를 침공했지만 크로아티아 군대의 반격으로 패배했고, 크로아티아와 불가리아는 크로아트인과 불가리아인 간의 공존에 관한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1]852년 3월 4일 라틴어로 작성된 하사장을 스플리트의 대주교에게 전달했는데, 이 하사장은 1568년에 작성된 필사본을 통해 전해진다. 트르피미르 1세는 이 하사장에서 자신을 "하느님의 은총을 받은 크로아트인의 공작"(Dux Chroatorum iuvatus munere divino)으로 묘사했으며, 자신이 통치하는 왕국은 "크로아트인의 왕국"(Regnum Chroatorum)으로 묘사했다.[2][3]
스플리트 교회가 크로아티아 영토에 소유하고 있던 모든 재산을 인정하는 한편 클리스 요새에 있던 자신의 재산을 스플리트의 대주교에게 하사했다. 스플리트의 대주교는 하사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클리스(Klis)와 솔린(Solin) 사이에 위치한 리지니체(Rižinice)에 베네딕도회 수도원을 건설하기 위한 비용을 트르피미르 1세에게 바쳤다.[2][7]
색슨인 출신 베네딕도회 신학자 오르바이스(Orbais)의 고찰크(Gottschalk)는 846년부터 848년까지 트르피미르 1세의 궁전에 거주하는 동안 트르피미르 1세와 관련된 기록을 남겼다. 고찰크는 이 기록에서 트르피미르 1세를 "슬라브족의 왕"(rex Sclavorum)이라고 칭했고, 트르피미르 1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지배로부터 독립을 달성했다고 묘사했다.[2]
2. 3. 후계
트르피미르 1세는 슬하에 즈데슬라브(Zdeslav), 페테르(Peter), 문치미르(Muncimir) 3명의 아들을 두었다.[12][13] 트르피미르 1세의 사후 크로아티아의 공작위는 도마고예비치 가(Domagojević) 출신의 도마고이(Domagoj)가 승계받았다. 864년경 트르피미르 1세의 아들 즈데슬라브가 도마고이에 의해 폐위되었거나, 혹은 도마고이가 직접 왕위를 계승하여 트르피미르 1세의 아들들을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도망가게 했다.[15] 이후 892년에 문치미르 공작의 통치 시기에 작성된 헌장에서 문치미르는 "그는 아버지의 왕좌로 돌아갔다"라고 언급했는데,[14] 이는 브라니미르에게 찬탈당한 것이었다.참조
[1]
문서
De Administrando Imperio, XXXI. Of the Croats and of the country they now dwell in
[2]
서적
South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3]
문서
Codex Diplomaticus Regni Croatiæ, Dalamatiæ et Slavoniæ, Vol I
[4]
서적
Becoming Slav, Becoming Croat. Identity transformations in post-Roman and Early Medieval Dalmatia
Brill
[5]
간행물
Kulturna kronika: Dvanaest hrvatskih stoljeća
http://www.matica.hr[...]
Matica hrvatska
2019-06-10
[6]
서적
Povijest Hrvatske I. (od najstarijeg doba do g. 1657.)
[7]
웹사이트
Hrvatska povijest: Hrvatski knez Trpimir
http://krk.fcpages.c[...]
[8]
서적
Die Evangelienhandschrift zu Cividale
Hannover
[9]
서적
Priručnik izvora hrvatske historije, dio I., čest 1 (do go. 1107)
Zagreb
[10]
간행물
Vijesti o najstarijim hrvatskim hodočašćima
https://hrcak.srce.h[...]
Katolički bogoslovni fakultet Sveučilišta u Zagrebu
2023-01-25
[11]
간행물
Kneginja Maruša. Žene, supruge, vladarice u ranom srednjem vijeku
https://www.matica.h[...]
Matica hrvatska
2023-01-25
[12]
서적
Die Evangelienhandschrift zu Cividale
Hannover
[13]
웹사이트
Iohannes Diaconus, Istoria Veneticorum
http://www.uan.it/al[...]
[14]
문서
Codex Diplomaticus Regni Croatiæ, Dalamatiæ et Slavoniæ, Vol I
[15]
서적
The Early Medieval Balkans: A Critical Survey from the Sixth to the Late Twelfth Centu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